재림신문

본문 바로가기
더보기
뉴스 검색
통합검색

뉴스

지역선교협회, 지구 – 지역 체제로 환원키로

페이지 정보

김범태 기자 kbtlove@kuc.or.kr 입력 2016.04.08 17:22
글씨크기

본문

연합회 행정위 ‘각 합회 지역 조직’ 수정안 결의
한국연합회 행정위원회는 지선협 제도 수정을 골자로 한 ‘각 합회 지역 조직’ 수정안을 가결했다.
한국연합회 34회 회기가 일선 교회 선교활성화를 위해 추진했던 ‘지역선교협회’(이하 지선협)가 시행 4년 만에 지구-지역 체제로 환원된다.

지난달 24일 열린 한국연합회 행정위원회는 지선협 제도 수정을 골자로 한 ‘각 합회 지역 조직’ 수정안을 가결했다.

이에 따라 일선 교회의 조직 단위는 예전의 지구 및 지역 체제로 돌아간다.

지선협은 ‘교회연합회’로의 재조직이 대총회의 지도에 의해 중단된 이후, 각 교회 및 지역의 목회.선교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1년 ‘영적부흥 및 개혁위원회’의 제안에 따라 시행됐다. 각 지역의 지리적 특성 및 교통 편의성을 고려해 한 합회 당 7~15개 내외로 분할, 운영했다.

행정위는 이날 지선협 존폐 여부를 두고 약 4시간동안 진지하게 토의했다. 논의과정에서 ‘과연 어떤 제도가 지역 선교에 더 유익한가’ ‘지선협에서 하던 선교활동을 지역이나 지구 단위에서는 할 수 없나’ ‘예산 지원 조정 이후의 실효성 여부’ 등이 쟁점으로 부각됐다.  

우선 선교적 실효성이 도마에 올랐다. 지선협을 경영한 결과 기대만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기존에 활성화되었던 지구별 평신도 공중전도단이 약화되는 등 평신도들의 자발적 선교활동이 크게 줄어들었다는 평가가 제기됐다.  

충청합회 한 평신도 위원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경우를 예로 들며 “지선협은 교회간 거리도 멀고, 부대비용도 많이 소요된 반면, 가시적 성과는 얻지 못했다. 하지만 지역이나 지구 단위의 활동은 상대적으로 경비소요도 적고, 효과도 좋았다”며 환원에 찬성했다.

영남합회 소속 한 목회자는 “부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선협이 기존의 지구 3-4곳을 합쳐 구성됐다. 그러나 지리적 특성과 원거리 제약으로 인해 과거의 지구 체제에 비해 응집력이나 결속력이 떨어져 실질적인 기대효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목회자도 개인의견을 전제로 “개 교회를 지원하기 위한 의도로 시작했지만, 마치 합회의 영향력을 그대로 축소한 기구처럼 또 다른 옥상옥의 존재로 자리매김했다는 느낌이었다”며 “지선협을 통해 지역교회가 성장하거나 부흥했다는 구체적 수치나 결과를 찾아볼 수 없었다. 때문에 상당수의 지역교회에서 이 제도에 대한 회의감이 들었던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충청합회의 한 목회자는 “우리 합회는 지구 체제에서 구조적 변화 없이 그대로 지선협을 운영했기에 나름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원칙적인 지침과 정관에 따라 운영했음에도 목회자와 평신도들이 본인 소속 교회에 집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게다가 지구사업도 하면서 지선협 일을 겸하다보니 에너지가 그만큼 많이 소요됐다”고 짚었다.

지원금이 당초 취지대로 직접선교에 사용되지 않고, 행사 운영에 지출되는 등 재정사용에 대한 행정부와 일선의 괴리도 컸다.

한 목회자는 “지선협에 배분되는 자금이 직접선교비로 사용돼야 하는 규정이 있었음에도 실제적으로는 행사나 이벤트 등 간접선교비 명목 지출이 많았다”고 현실을 지적했다.

반면 서중한합회의 한 목회자는 “지원되는 자금 규모가 지역교회를 살릴 만큼 충분하지 못했다. 우리 지선협의 경우 교회별로 분배해보니 한 교회 당 겨우 100여만 원 남짓했다. 이 정도 비용으로는 지역교회 활성화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동중한합회의 한 목회자도 “자금은 중견 교회의 선교부 예산 정도에 지나지 않으면서 규정은 무척 까다로웠다. 일선에서는 재정 지원이 급격하게 늘어나지 않는 이상 지선협이나 지구 체제나 큰 차이가 없다”고 경험을 빗대 설명했다.  

조정됐던 연합회와 합회의 부서가 환원되고, 부부장이 임명되면서 지선협의 역할이 축소됐다는 현실적 이유도 한몫했다.

서중한합회 한 목회자는 “지선협을 도입한 이유 중 하나는 연합회와 합회의 조직을 줄이고, 재정을 절감해 발생하는 자금과 행정력을 지역으로 되돌려 일선 교회 활성화를 돕겠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주지하다시피 현재 연합회와 합회의 부서 및 직제는 원상으로 회귀하거나 더 보강됐다. 또한 지선협에 행정권과 인사권이 주어지지 않다보니 한계가 있었다”고 진단했다.

운영자금 지원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더 이상 지탱할 수 있는 동력을 잃었다는 반응도 있었다. 실제로 4년 전 처음 제도를 도입할 당시만 하더라도 연합회가 한국 교회 총 십일조의 1.5%(약 9억)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하고, 고유목적자금의 일부를 배분했지만 3년차 이후부터 매년 예산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영남합회 소속 목회자는 “직전 회기에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을 새 회기 들어 곧바로 바꾼다는 부담이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처음 지선협을 도입할 당시와 현재의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명분이나 정서적인 사항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 교회가 처해 있는 상황은 더 긴박하다. 존속과 환원 중 어느 것이 더 득인지 면밀하게 따져 변화를 줘야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환원 결정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고개를 들었다.

호남합회의 한 평신도 위원은 “지선협을 시행한 지 이제 겨우 4년 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벌써 폐지를 논한다는 건 시기적으로 이른 감이 있다. 회기가 바뀔 때마다 직전 회기의 사업을 바꾼다는 것은 교회행정의 신뢰성 문제”라고 반대했다.

그는 “규모와 재정이 탄탄한 도시의 중대형 교회는 지선협의 효과가 미미했겠지만, 지방의 소형 교회는 상당한 유익을 얻었다. 예를 들어 패스파인더를 하고 싶어도 아이들이 적어 할 수 없었던 교회들이 지원되는 예산을 기초로 인근 교회와 연합해 관련 사업을 할 수 있었다. 만약 이 제도가 사라지면 이처럼 활성화됐던 사업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호남합회 소속 목회자 역시 “‘3040세대 프로그램’ 등 개 교회 단위에서는 실행하기 어려운 사업도 지선협에서는 할 수 있었다”면서 “제도를 없애기에 앞서 장단점에 대한 조사나 연구보고 등 여론수렴과정이 있어야 한다”고 건의했다.

호남합회 한 일선 교회 목회자는 “운영지침에 맞게 교육과 훈련에 집중한 결과 어린이.청소년 사업에 상당한 효과를 봤다. 공중전도회나 소그룹 등 선교분위기도 상승했다”고 긍정적 요소를 언급하며 아쉬움을 표했다.  

한국연합회장 황춘광 목사는 표결에 앞서 “제도를 변경하는 매우 중요한 결정이기 때문에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해 지선협과 지역 및 지구 체제 등 각각의 제도가 갖는 장단점을 면밀히 검토한 후 결의하는 건 어떻겠냐?”고 제안했으나 “이 자리에서 결정하자”는 의견이 훨씬 우세했다.

결국 행정위원 전원 표결에 부쳐 지선협 제도를 이전의 지역, 지구 제도로 돌아가기로 최종 결정했다.
좋아요 0

사이트 정보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운영자: 이상용
  • 운영센터 : 02-3299-5294
  • 재림미디어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54732
  • 등록(발행)일자 : 2023년 3월 8일
  • 발행인 : 엄덕현
  • 편집인 : 이상용
  • 주소 : 서울 동대문구 이문로 1길 11, 시조사 2층
Copyrightⓒ adventist.or.kr All right reserved.
Contact webmaster@adventist.or.kr for more information.